Decentralize Finance(Defi)는 중앙화된 기관없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이 탈중앙화를 중심으로 시작한 플랫폼이지만 중앙화된 기관들을 중심으로 생태계가 운영되게 되면서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등장하게되었다.

스크린샷 2024-01-08 오후 1.19.07.png

Uniswap

❶ Pair로 인한 가격 관리 대표적인 Dex 인 Uniswap에서는 x * y = k 인 CPMM(Constant Product Market Maker) 모델 을 사용한다. x의 공급이 늘어나면 y의 공급이 감소하게 된다. 유동성 공급자는 항상 같은 금액의 Pair를 예치해야한다.

❷ IL(비영구적 손실) 유동성 풀에 유동성을 공급한 후 예치한 자산의 가격이 변하는 경우, 실제로 이자로 받는 보상보다 예치한 금액의 손실이 큰 경우를 의미하며 IL(Impremanent Loss)라고 부른다. ❸ Slippage(슬리피지) 항상 일정한 금액의 매수를 선택하면 그것을 보장하는 중앙화 거래소와는 달리, Dex에서는 유동성 풀에 충분한 양이 없다면 매수한 금액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슬리피지라고 한다.

Compound

❶ Supply & Borrow 담보 대출 방식으로 Supply로 일정 수량의 Token을 공급하고, 이에 담보 비율 만큼의 원하는 자산을 대출 빌릴 수 있다. 담보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면 청산이 발생할 수 있다. ❷ c토큰 유동성 풀의 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ETH를 예치하게 되면 해당 지분만큼의 cETH를 받게 됩니다. 지분만큼 사용자에게 이자 수익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❸ COMP 토큰 컴파운드 생태계에서 플랫폼의 방향성에 투표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내는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유동성 제공자와 대출인이 50대 50으로 나누어 갖습니다.

이자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APY(Annual Percentage Yield)는 복리 이자 금액, APR(AnnualPercentage Rate)은 단리 이자 금액을 나타냅니다. 대부분 Defi 서비스들은 APY로 표시합니다.

Defi Pulse(TVL)

Total Value Locked(TVL)은 Defi 플랫폼에 얼 만큼의 자금이 잠겨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값입니다. TVL 값은 현재 예치된 금액의 총합이다. 이 값이 중요한 이유는 현재 예치된 금액이 클수록 시장에서 유동성 공급이 줄어들어 자산 가격의 상승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스크린샷 2024-01-08 오후 1.19.41.png

Anchor

Terra-Luna 사태를 키운 Defi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Terra를 예치하면 항상 20%의 이자를 지급하는 것을 내세운 이자 농사 서비스입니다.

예치금이 늘어나면서 유동성 공급자에게 제공할 이자금액이 바닥나게 되면서, Terra-Luna의 폭락이 발생하게 됩니다.

스크린샷 2024-01-08 오후 1.19.53.png

Rug Pull

Defi 개발자가 본인이 개발당시에 개발비용으로 보유하고 있는 Token을 모두 매도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는 행위